Home |
연구소소개 |
자유게시판 |
추천사이트 |
운영자에게
기초세미나
|
연구세미나
|
지난 게시판 모음
출판물 안내
|
논문/시론
|
콜로키움/토론회
|
연구원마당
|
참고자료실
|
과거 자료실 모음
권두언 | 정세-컬럼 | 특집-기획 | 논문-기획번역 | 현장-지역 | 연구소소식 | 기타
동향자료
|
주간동향과 초점
과월호 보기 (제106호 이전)
제목
내용
필자
전체
최근일년
최근한달
최근한주
전체
>>
과월호 보기
<<
(제106호 이전)
현장에서 미래를
>
수정하기
글쓴이
기자/글쓴이의 이름을 입력
이메일
이메일 주소를 입력
발행호수
제
호
분야 선택
==============
권두언
특집
컬럼
노동자민중세상
논쟁과 쟁점
연재-기획
시사만평
알림-소식
(컬럼)
발행호수,기사의 분야 입력
발행일자
(형식: 2003.5.1)
현재 날짜와 다를 때만 입력
HTML
사용함
사용안함
'사용안함'도 기본태그 적용됨
제목
보조 제목
Textarea size config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 Transitional//EN"> <!-- Document Start -->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CLASS=HS15> 대졸 청년실업에 대한 짤막하지만 </P> <P CLASS=HS15> 가장 솔직한 인터뷰 </P> <P STYLE='font-family:"#신세고딕";font-size:14px;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18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 계급투쟁의 후퇴를 반영하는 것이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CLASS=HS16> <A NAME="#2045162164"></A> <TABLE border="1" width="126px" height="36px"cellspacing="0" cellpadd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border:none;'> <TR> <TD height="18px" width="126px"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0.10mm;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0.10mm;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0.10mm;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0.12mm;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solid;'><P CLASS=HS16> 이 문 열</TD> </TR> <TR> <TD height="18px" width="126px"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0.10mm;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0.10mm;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0.12mm;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solid;border-bottom-width:0.10mm;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P STYLE='font-family:"#신세고딕";font-size:12px;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16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민족고대총복학생협의회</TD> </TR> </TABLE>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0.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인구의 노령화를 이야기하며 청년층이 줄고 있다고 걱정하는데 도대체 왜 청년실업은 사상최악의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는 것인가? 중년의 나이에 이미 해고당하는 것을 걱정해야 하는 노동의 조건<A HREF="#FOOTNOTE1"><SUP>1)</SUP></A>에서 어찌 청년에게 일자리가 돌아오지 않는 것인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알다시피 전반적 빈곤과 만성적 실업은 노동유연화를 강제하는 지배계급의 강력한 무기이다. 마치 임금노예가 되기를 거부했던 거지들을 때리고 죽여서라도 되게 만들었던 옛날 옛적 영국에서처럼 말이다. 한국사회에서 실업의 문제는 이미 IMF 이후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프랑스에서의 투쟁을 교훈 삼아 계급운동의 활로를 만들어 갈 수 있는 하나의 기제로 사고되어 왔으나, 운동주체 재생산의 문제 등으로 인해 중단된 것이나 다름없는 상태이다. 학생운동 역시 IMF 이후 대졸청년실업의 문제가 급부상하게 되자 청년실업의 문제를 자기 운동의 긴급한 과제로 삼았었다. 그러나 청년실업이 엄청난 사회문화적 충격으로 나타나는 시기적인 요인에 의해 노학연대의 자기근거<A HREF="#FOOTNOTE2"><SUP>2)</SUP></A>로 삼는 수준이었으며, 자기운동의 양태를 완전히 예비실업자운동으로 전환하지 않는 이상 그 무엇도 하기 힘든 것이었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현재 대부분의 언론에서 청년실업을 언급하는 모든 관점은 반동적이다. 애초에 청년실업에 접근하는 것 자체가 너무나도 난망한 문제―어디로 튈지 모르기 때문에―이며 어느 누구도 대안을 제시할 수 없는 상태에서 다른 목적의 정치선동을 위한 기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전과 달리 대졸청년실업을 발생시키는 특수하고도 눈에 띄는 변화지점이 있다. 그것은 IMF 시기의 실업이 사회전반적인 위축에 의한 것으로 은폐<A HREF="#FOOTNOTE3"><SUP>3)</SUP></A>되었다면 현재의 실업은 바로 자본이 노동에 바라는 유연화의 척도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라는 것이 분명히 드러나기 때문이다<A HREF="#FOOTNOTE4"><SUP>4)</SUP></A>. 앞에서 말했다시피 50세가 되기 전에 노동자들이 烹(팽)당해 버리는 조건에서 청년층의 노동시장 유입인구가 날이 갈수록 줄어드는 핵심적 이유가 자본의 공세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기사를 우리는 너무나 흔히 볼 수 있으며 보기 싫어도 믿을 수밖에 없을 정도로 넘쳐나고 있다. </P> <P CLASS=HS21> <BR> </P> <P CLASS=HS21> “주요 대기업들이 매년 대학을 갓 졸업한 신규 졸업자 비중을 낮추는 대신 경력사원 채용 비중을 대폭 늘리고 있다. 특히 삼성․LG․SK․포스코 같은 핵심 대기업들이 이 같은 경력자 중시(重視) 채용을 주도해 기업 인력채용 시장에 일대 지각 변동이 일고 있다. SK그룹 이노종 전무는 “지난해 그룹 전체를 통틀어 채용한 1300명의 신입사원 가운데 경력직 사원이 700명으로 직장 경험이 없는 순수 신규사원(600명)보다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지난 2000년의 SK그룹 신입사원은 신규와 경력직 숫자가 각각 800명으로 똑같이 50%를 기록했다....장상수(張相秀) 삼성경제연구소 상무는 “대기업이 경력사원 비중을 늘리는 것은 기업이 따로 재교육을 시키지 않고도 즉시 실무에 투입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이유”라고 말했다. 대졸 신입사원을 뽑아 재교육하는 데 최소 1~2년의 시간과 연간 수백 억 원의 경비가 들기 때문에 현장 적응력과 전문성을 갖춘 경력직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한만진 LG전자 인사담당 상무는 “치열한 고급 인재 확보 전쟁을 벌이고 있는 기업 입장에선 능력이 검증된 최우수 인력을 적기(適期)에 확보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2000년부터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를 전면 중단하고 연중 상시(常時)채용 방식으로 전환했다” (조선일보 경제 2002. 8.19)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대졸청년실업의 문제는 사회전반의 실업과 관계가 있으며 대학교육이 자본의 정책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 지와 불가분하다. 따라서 원론적인 논의부터 구체적인 것을 분석하는 것까지 밝힐 수밖에 없으나 그럴 경우 역시 하나마나한 얘기(심각하다더라, 장난아니라더라..)가 주가 되어버리고 말 것이기에 시야를 최대한 좁혀 최소의 부문에서 최대의 사실을 근거로 이야기를 풀어가고자 한다. 위의 기사에서 보다시피 현재 대졸청년실업에서 가장 돌출된 기제인 ‘경력직 선호’와 ‘수시채용’ 두 가지를 주된 화두로 삼아 대학 내의 취업준비자들에게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CLASS=HS32> 1. 경력직 선호?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 Interview 1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ー 77년생 여자. 고대 서문과 졸. 멕시코 현지 법인에서 2년간 근무 후 귀국, 현재 취업 준비 중.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멕시코로 가게 된 이유와 그곳에서 한 일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전공을 살리고 싶어서 학부 시절부터 중남미 지역에서 생활하고 싶었다. 학부 3학년 때 멕시코로 어학연수를 다녀온 후 졸업을 하자 마자 다시 멕시코로 떠나서 현지 무역회사에서 2년여간 근무를 했다. 생활비가 싼 반면에 임금은 한국의 수준으로 받기 때문에 여러모로 유리한 점이 많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한국에 와서 취업 준비를 하며 느낀 점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졸업하기 전 한국에서의 취업을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렇게 상황이 심각한 줄은 몰랐다. ‘토익 900 이상, 자격증, 평균 학점 4.0’이 대기업 입사 지원자(혹은 합격 가능자)들의 평균 성적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무척 놀랐다. 멕시코에서는, 내 능력이 뛰어나지 않았음에도, 계속적으로 새로운 직장에 대한 제안이 들어왔기 때문에 한국에 들어와서 ‘직장’이 이렇게 절실한 것인지 새삼 느끼게 되었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대학/학과의 위계 질서가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던데...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외국에서도 한인들 사이에서는 학벌을 따지는 것을 보고 이를 실감하게 되었다. 같이 일하던 동료 중 부산외대를 졸업하고 멕시코 현지에서 일하던 사람이 있었는데, 나보다 어학 실력이나 마케팅 실력이 훨씬 우수함에도 단지 내가 고대를 나왔다는 이유만으로 인정을 받았었다. 우리는 농담 삼아 ‘취직 안되면 학원강사라도 하지’라고 이야기 하지만 흔히 이야기하는 명문대, 아니 수도권 지역 대학 출신이 아니라면 이것도 힘든 것 아닌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기간 취업시도를 하며 느낀 것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흔히 신문에서 볼 수 있는 청년실업에 대한 대책들이 노동유연화와 직업이동의 활발화 같은 것들인데 내 입장에서 그것을 볼 때 너무나 화가 난다.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하려는 사람 중에 자기의 최초 노동력 판매인데도 불구하고 잠깐 일하다가 딴 곳으로 옮길 생각을 하고 취업하는 사람이 어디 있겠나? 설사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고려하여 오히려 더욱 안정적이며 대기업으로 취업을 선호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실제 경력직을 많이 선호하는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나도 말만 그런 줄 알았는데 정말 심각한 수준이다. 단지 경력직을 선호한다는 수준이 아니라 경력직의 숙련 노동의 수준에 이르도록 강제한다는 면에서 너무나 충격적이었다. 경력직을 선호한다는 것은 도저히 신규취업자들과 합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더구나 최고수준의 노동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절망감을 줄 수밖에 없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어떻게 할 생각인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이런 조건에서 방법은 하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어떻게든 노력해서 공기업에 들어가는 것밖에 없다. 여자로서 그나마 차별을 덜 받으며 가장 안정적이다. 막상 내 노동력을 판매하기 시작하면 명백히 내가 노동착취 당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내가 하는 노동이 나와 아무런 관계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최대한 적은 시간 노동하고 많은 대가를 받으며 안정적인 일자리를 택하는 것이 유일한 선택이며 그래서 난 공기업에 갈 것이다. 물론 다른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학벌 좋은 것들이나 그럴 수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별다른 방법이 없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이후 계획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무역진흥공사(KOTRA) 입사를 위해 준비를 하고 있다. 전공과 해외에서의 경험을 살릴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열심히 준비는 하겠지만 실패할 경우는 미련을 갖지 않고 다시 멕시코로 떠나 아예 그곳에서 정착할 계획이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경력직을 채용한다는 것은 두 가지를 의미한다. 하나는 노동자 개인의 노동력을 자본이 원하는 수준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겠다는 것이며 신규채용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경력직 수준의 노동력을 갖추길 요구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는 해고와 이직을 늘리는 것을 전제로, 취업자의 입장에서 앞으로도 안정적인 취업을 위해서는, 최초 취업이 누가 봐도 우수한 기업에서 일했다는 근거가 되어야 하고, 당연히 자기 노동력 가치를 높이기 위해 더욱 많은 노력을 할 수밖에 없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CLASS=HS32> 2. 수시채용?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 Interview 2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 75년생 남자. 고대 언어학과 졸업. 언론사 준비중.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이제 우리나이로 29세 인데, 아직까지 취직을 하지 않은 사실이 부담되는 나이인 것 같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그렇다. 재수를 했고 어학연수를 다녀오는 등 나름대로 항상 무언가를 하며 대학생활을 하려 했는데 졸업을 하고 한해동안 하고자 하는 바에서 실패를 하게 되니 서른이 되었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언론사를 준비하는 이유는?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고시공부나 국정원/공사 등 공기업을 가려고 하는 친구들과 마찬가지일 것 같다. 일반 기업체에 가서는 전공을 살리기도, 적성에 맞는 일을 하지도 못하고 영업사원이나 하다가 30대 중반에 회사를 그만두는 것이 뻔한데, 그래도 자신이 원하는 일에 도전하며 살 수 있다는 것이 내가 언론사 시험을 계속 준비하는 하나의 이유가 되는 것 같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지금 가장 불안한 것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취업연령제한에 걸리는 나이가 되었다는 것이 가장 큰 불안함으로 다가온다. 물론 몇몇 단체들에서나 정부에서 취업연령제한을 철폐하겠다고 이야기하고, 실제로 공식적으로 취업하는 데 있어서 나이를 보지 않는다는 곳도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나이 많은 사람들을 채용하는 회사는 거의 없고, 만약 입사를 한다고 해도 조직생활에 있어서 우려가 되는 부분이 있기에 나 자신도 걱정이 많이 된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도서관에 굉장히 오래 있는 것 같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나 같은 경우 나이 문제도 있지만 기업의 채용이 예전과 많이 달라졌다. 예전의 경우 시기마다 채용이 몰려 있어서 집중해야 할 시기가 정해져 있었는데 요즘은 시도 때도 없이 한다. 그래서 항상 준비하고 있어야 하며 하나가 끝날 때쯤 하면 또 다른 군데가 채용하고 한다. 그래서 정보도 빨라야 하며 정보도 취합하고 공부도 하는 겸 도서관에 눌러 있는다. 그러다 보니 어떤 기업들은 3명 뽑는데 100명이 몰리고 하는 것이다. 그만큼 찬스를 기다리는 취업준비자들이 축적되고 있는 것이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수시채용이 왜 늘어가는 것 같은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가 되어버리지만 보다시피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취업을 기다리며 도서관에 머물러 있다. 이미 이러한 실업자 층이 풍부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졸업시즌을 기다릴 이유가 있겠는가? 수시로 자리가 빌 때마다 이런 실업자 층에서 뽑아 쓰면 되는 것이다. 나도 그러한 층에 속한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Q : 요새 도서관에 졸업자(얼굴만 봐도 나이가 든)들이 상당히 많아졌다. 눈치보이지 않는가?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A : 말 그대로 너무 많아서 눈치보이지도 않는다. 취직했다고 하던 친구들도 언젠가 보면 다시 돌아와서 도서관에 보인다. 약간 작고 힘든 직장에 간 친구들은 힘든건 둘째치고 전망이 보이지 않아서 나올 수밖에 없다고 이야기들 한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고대의 경우 1997년 1학기 재적인원<A HREF="#FOOTNOTE5"><SUP>5)</SUP></A>이 32,305명이었는데 2003년 1학기 37,719명으로 5,414명 늘어났다. 6년간 늘어난 정원이 2,796명이었음을 보았을 때 졸업은 하지 않으며 고대에 적을 두고 있는 사람의 숫자가 늘어나는 비율에 가속도가 붙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대학생 대부분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도서관 열람실의 절반은 졸업생 혹은 (휴학)취업준비생으로 채워지고 있다. 이 속을 들여다보면 경력직 선호와 달리 수시채용은 실업자 층이 이미 있다는 것을 전제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업자 층을 더욱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력직 선호의 경우 그만한 노동력을 갖추기 위해 자발적 실업을 선택하는 것이지만 수시채용의 경우 취업준비자 자신이 선택할만한 어떤 여유도 주지 않으며 자연히 실업자 층으로 포함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애초 선택의 구조를 부여하지도 않아버리는 것이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CLASS=HS32> 3. 대학의 상태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상반기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투쟁과 자동차 임단투에 대한 반동적 비난이 난무했었다. 연봉이 얼마네 휴가가 몇 일이네 하면서 노동자들의 투쟁을 폄하하는데 지배계급은 그들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역량을 쏟아 부었다. 그 중 가장 무서운 것은 바로 비정규직 및 불안정 노동자와 실업자 층을 정규직 노동자를 공격하는데 동원하여 계급 내부의 분할을 강조, 강화하는 것이었다. 흔히들 비정규직 사업장에서 경험하는 것이기에 새로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것이 대학으로 유입되는 경우 상상도 하지 못할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에 놀랄 것이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예전에 있었던 전지협 파업이나 서울지하철의 노동시간 단축파업에 대해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신의 이익과 무관한 것으로 인식했으며, 지지하는 쪽은 관용(똘레랑스)으로 인정해주는 수준이었으며 반대하는 쪽은 ‘시민의 발’ 혹은 ‘국가경제’를 운운하며 그다지 설득력 없는 견해를 주장했을 뿐이다. 전체적으로 둘 다를 관통하는 것은 ‘나랑 별 상관없는 일이야’라는 것이다. 그러니 고작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 ‘파업하면 불편하잖아!’ 정도였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하지만 상반기 노동자들의 투쟁에 학생들은 진실로 자신의 처지에서 비롯한 발언, 분노에 찬 혓바닥을 휘둘러 댔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이것들이 배지가 불러서!”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현대자동차 공돌이들이 연봉이 얼마라고?”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놀라실 지 모르겠다. 분명히 이 발언은 비정규직 노동자가 흔히 정규직 조직노동자들에게 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자기 미래의 불안정한 노동이 지금의 나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앞의 인터뷰를 한 사람들도 현대자동차에 가고 싶다고 말한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고작 학생나부랑이들에게 이런 소리를 들어야 하나?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들어야 한다. 이는 계급내의 분할이 확장된 것이며 조직노동자들의 투쟁이 전체 계급투쟁을 선도하지 못하며 후퇴했기 때문이다. 바로 계급투쟁의 후퇴가 전적으로 반영된 것이다.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대졸청년실업에 대한 접근 자체가 반동과 개량으로 흘러가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실업자를 줄일 수 있을까?’가 아니라―이미 대책을 세울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어떻게 하면 계급의 단결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인가?’가 되어야만 한다. 그래야만 ‘뉴딜형 정책을 통해 강제 취업교육을 시켜야 한다’는 둥 복지국가 모델을 운운(별로 노력하지도 않으면서)하며 구름 위를 날아다니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A NAME="#2045162165"></A> <TABLE border="1" width="47px" height="30px"cellspacing="0" cellpadd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border:none;'> <TR> <TD height="14px" width="47px" valign="middle" bgcolor="#000000" style='border-left-width:0.12mm;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solid;border-right-width:0.12mm;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solid;border-top-width:0.12mm;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solid;border-bottom-width:0.12mm;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solid;'><P STYLE='font-family:"휴먼굵은팸체";font-size:11px;color:"#ffffff";text-align:center;line-height:13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한/노/정/연</TD> </TR> </TABLE>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BR>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0px;margin-left:0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참고자료<<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72px;margin-left:72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이병희(2001),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경력형성」, 『분기별 노동동향분석』 1/4, 한국노동연구원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64px;margin-left:64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이병희․안주엽 (2001), 「청년실업의 현황과 원인 : 교육과 노동시장」, 『분기별 노동동향분석』 3/4, 한국노동연구원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63px;margin-left:63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민중정치실현의 대장정학생연합 추진위원회 (1998), 「실업운동의 과제와 전망」, 『대장정』 98/4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58px;margin-left:58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99년 전국청년학생한마당 자료집, 「대학인 고용․실업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투쟁을 조직하기 위하여」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3px;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21px;text-indent:-58px;margin-left:58px;margin-right: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 </P> <!-- Document End --> <HR WIDTH="300px" ALIGN="left"><A NAME="#FOOTNOTE1"><P CLASS=HS11> 1) “온라인 채용정보업체인 잡링크(www.joblink.co.kr)는 9일 직장인 3,126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이 느끼는 체감 정년은 평균 36.5세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헤럴드경제 2003.10.09) </P> </A><BR><A NAME="#FOOTNOTE2"><P CLASS=HS11> 2) “즉 신자유주의적 대학사회 재편을 분쇄하는 계급적대의 지점으로 대학인의 고용문제가 이해되고 조직되어야 하며 이러한 투쟁은 학원 내 계급적대의 주목으로부터 반자본전선의 구축으로 그 유의미성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대학인의 고용문제가 노학연대투쟁의 사안과 주제로 확대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노학 연대투쟁으로서의 대학인의 고용․실업 문제는 노학연대투쟁의 일상화와 그 폭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운동주체의 노력은 반자본투쟁과 결합하여 질적으로 새로운 노학연대투쟁을 창출함은 물론 이로부터 학원 내 노동자 계급중심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외화되어야 한다” (99년 전국청년학생한마당 자료집 중 ‘대학인 고용․실업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투쟁을 조직하기 위하여’)</P> </A><BR><A NAME="#FOOTNOTE3"><P CLASS=HS11> 3) “청년층 일자리가 절대적으로 감소한 것은 인구의 감소만이 아니라 기업의 청년층 채용이 둔화되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기업의 지불능력이 1999년 이후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규 졸업자에 대한 기업의 채용은 크게 둔화된 것이다. 이는 경기 악화에 대응한 기업의 대응이 과도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병희, 2001) </P> </A><BR><A NAME="#FOOTNOTE4"><P CLASS=HS11> 4) “또한 기업이 신규 참가자보다는 경력 근로자를 선호하며, 수시 채용관행으로 변화함에 따라 청년층 일자리의 창출이 앞으로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기업이 노동비용 절감을 위해 정규 근로보다 비정규 근로로 노동수요의 선호체계가 변화하고 있음에 비추어 청년층 취업시장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병희, 2001)</P> </A><BR><A NAME="#FOOTNOTE5"><P CLASS=HS11> 5) 휴학생을 포함한 고대에 적을 두고 있는 모든 인원 (고려대학교 학적과 통계)</P> </A><BR>
파일수정
미디어 주소
음성,동영상,플래시,PDF 파일 등 미디어파일의 주소(링크)
미디어 제목
※기사 제목과 다를 때만 입력
띄어쓰기 없이 쓸 경우 한줄을 너무 길게 쓰지 마십시오.
비밀번호:
목록보기
이전페이지
(구)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100-272) 서울시 중구 필동2가 128-11 상전빌딩 301호 Tel.(02)2277-7957(팩스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