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간특별호: 한노정연 백서] 2007.1.15.

현장에서 미래를 > 컬럼 > 목록보기 > 글읽기

 
사진이 선전물이 되었을 때...
 119호 표지사진 설명

현장에서 미래를  제119호
사막은

지난 4월6일 여의도에서 열린 덤프연대 총파업 결의대회에 참가한 조합원이 그날 건교부와 있었던 교섭결과를 듣고 있는 사진입니다.
덤프연대 총파업 결의대회 때 찍었던 이 사진이 민주노총 노동절 기념대회 포스터로 쓰였습니다. 포스터가 배포되자 진보진영 내에서는 ‘남성중심, 남성일색, 노동자=남성’이냐며 논란이 일었습니다. 노동절 포스터로 이 사진이 쓰이면서 노동운동의 ‘남성 패권주의’를 웅변하는 것으로 보이는 것도 무리가 아닙니다.
다른 한편, 기성 언론 중앙일보는 1면에 세계노동절 포스터들과 함께 민주노총 노동절 포스터를 싣고는 ‘투쟁일변도 포스터’라며 힐난했습니다.
이 사진이 포스터로 쓰인 맥락에는 분명히 여성을 배제한 남성패권주의가 엿보입니다. 중앙일보가 투쟁일변도 포스터라고 힐난하며 노동을 배제한 자본패권주의로 노동자 ‘투쟁’을 누르려는 의도를 내비치듯이 말입니다.
‘노동절 포스터에 쓰인 사진’이 아닌 ‘덤프연대 총파업’ 때 찍은 사진, ‘노동3권도 인정받지 못하는 덤프연대 조합원’의 의미로 현미 표지에 올립니다.
논란은 계속되어야 할 거 같습니다.
노동운동, 변혁운동은 자본의 지배에 맞서 싸웁니다. 동시에 여성을 배제해온 가부장제에 맞서 싸워야 합니다. 자본의 남녀 분할지배와 여성을 배제해온 역사를 뒤엎는 운동을 펼쳐 나갑시다.

2006-05-10 01:18:21

의견글쓰기 프린트하기 메일로 돌려보기
이 글에 대한 의견보기  다른글 의견보기
아직 올라온 의견글이 없습니다


| 목록보기 | 윗글 | 아랫글 |

(구)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100-272) 서울시 중구 필동2가 128-11 상전빌딩 301호   Tel.(02)2277-7957(팩스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