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간특별호: 한노정연 백서] 2007.1.15.

현장에서 미래를 > 특집 > 원글읽기 > 의견글읽기

 
네오 모더니즘과 21세기 사회주의
 21세기 사회주의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현장에서 미래를  제124호 / 이성백
네오모더니즘과 사회주의 이성백 / 연구원, 서울시립대 철학과 교수 “우리에게 있어서 공산주의란 조성되어야 할 하나의 상태, 현실이 이에 의거하여 배열되는 하나의 이상이 아니다. 우리는 현재의 상태를 지양해 나가는 현실적 운동을... 자세히
 
궁금합니다.

글쓴이: 배우는 이 / 2006-11-27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글이라고 생각됩니다. 자본주의를 거시적으로 나누어서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은 인상적입니다. 많이 참조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궁금한 것은 네오 모더니즘이라는 방법론인데 21세기 사회주의가 새롭게 확장되는 것은 좋은데 그 방법이 맑스가 이야기한 정치경제 중심을 폐기하는가 여부입니다. 즉, 맑스의 사적 유물론이 네오모더니즘에서 폐기되는가 여부입니다. 선생님의 글에서는 이것이 불명료한 것 같은데 어떤 입장이신지 궁금합니다.
비밀번호
이 글에 대한 다른 의견보기 의견글쓰기 다른글 의견보기
1. 궁금합니다. 배우는 / 2006-11-27 

(구)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100-272) 서울시 중구 필동2가 128-11 상전빌딩 301호   Tel.(02)2277-7957(팩스겸용)